오늘은 리눅스 우분투 버전의 고정 IP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VM 가상 머신 환경의 리눅스 우분투의 고정 IP 설정을 직접 해보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관리자 로그인
sudo su - root
vi /etc/netplan/00-tab
고정 IP 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아래 파일을 읽고 쓸 줄 알아야 합니다.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이 파일은 root 만 읽고 쓸 수 있기 때문에 root 계정으로 들어가야 내용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IP 설정
network:
renderer: networkd
ethernets:
ens33:
dhcp: false
addresses:
- 192.168.188.12/24
nameservers:
addresses: [8.8.8.8]
routes:
- to: default
via: 192.168.188.2
version: 2
파일의 각 요소의 의미
상위 구조
- network:
Netplan 설정의 루트 키로, 네트워크 설정을 정의한다.
network 아래의 설정들
- renderer: networkd
- 네트워크 설정을 처리할 백엔드(Network Renderer)를 지정한다.
- networkd는 systemd-networkd를 이용해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는 모드이다.
- 일반적으로 NetworkManager 또는 networkd를 지정할 수 있음.
- ethernets:
- 유선(Ethernet) 인터페이스 설정 섹션이다.
- 여기서 정의된 하위 키들은 하나 이상의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설정한다.
ethernets 아래의 설정
- ens33:
- 실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이다. (시스템에 따라 ens33는 NIC 이름)
- 해당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어떤 IP 방식(정적/동적)으로 설정할지, DNS, 라우팅 등 세부 정보를 정의한다.
ens33 아래의 키들
- dhcp: false
- 이 인터페이스에 대해 DHC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즉, 동적으로 IP를 할당받지 않고, 정적인(수동) IP 설정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 addresses:
- 이 인터페이스에 할당할 IP 주소 목록이다. 리스트로 정의하며 CIDR 표기법을 사용한다.
- 예: 192.168.188.12/24는 IP주소 192.168.188.12에 서브넷마스크 /24 (255.255.255.0)를 가지는 정적 IP를 지정한다.
- nameservers:
- 이 인터페이스에 대해 사용할 DNS 서버 설정이다.
- 하위 키 **addresses:**는 DNS 서버의 IP 주소 목록을 지정한다.
- nameservers:
- addresses: [8.8.8.8]
- DNS 질의에 사용할 서버 주소를 8.8.8.8로 지정한다. 이는 구글의 퍼블릭 DNS 서버이다.
- addresses: [8.8.8.8]
- routes:
- 정적 라우트(경로) 설정 섹션이다.
- 리스트 형태로 여러 라우트를 지정할 수 있다.
- to: default
- to: default는 목적지 네트워크를 "기본 라우트(default route)"를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0.0.0.0/0과 동등한 개념이다. 즉, 모든 목적지로 향하는 트래픽에 대해 적용되는 라우트.
- via: 192.168.188.2
- via는 해당 기본 경로를 통해 패킷이 향할 게이트웨이 주소를 지정한다.
- 즉, 192.168.188.2를 게이트웨이로 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나가는 기본 경로를 설정한다는 의미.
최상위 설정
- version: 2
- Netplan 설정 파일의 버전이다.
- Netplan은 버전 1과 2가 있는데, 최신 Ubuntu 릴리즈에서는 주로 version: 2를 사용한다.
IP 설정 적용
netplan apply

외부와 잘 연결된 것 같으면 성공입니다.
VM 가상 머신 IP 선택 방법
addresses:
- 192.168.188.12/24
routes:
- to: default
via: 192.168.188.2
제가 IP 설정할 때 이 부분은 아무 값이나 넣은 것이 아닙니다.
현재 이 가상 머신이 연결된 가상 공유기의 설정을 보고 IP 값을 넣어주었습니다.



현재 저의 VM 가상 머신이 붙어있는 가상 공유기는 이것이고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보고 192.168.188.12/24 라는 IP 를 제가 직접 넣어준 것입니다.
via: 192.168.188.2
이 부분은 이 공유기의 주소를 넣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가상 공유기의 설정에 들어가서 IP 주소를 확인하면 됩니다.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 2024.12.21 |
---|---|
Blocking I/O 와 Non Blocking I/O |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