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9 자바로 HTTP 요청 보내고 받기 오늘은 자바를 이용해서 HTTP 요청을 보내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단순 문법 정리이므로 간단하게 각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정리했습니다. HttpClient , HttpRequest, HttpResponse 클래스 HttpClient , HttpRequest, HttpResponse 는 HTTP 요청을 보내고 해당 요청의 응답을 가져올 때 사용됩니다. HttpClient 사용법생성HttpClient client = HttpClient.newHttpClient(); GET 요청 생성 방법 //HTTP request 생성 방법 httpRequest = HttpRequest.newBuilder() .. 2025. 1. 13. 쓰레드 오늘은 쓰레드가 무엇이고, 왜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Java 에서는 쓰레드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히 문법을 알아보고 간단한 채팅 기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쓰레드란?쓰레드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모든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로 동작합니다.하나의 프로세스가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할 때, 각 기능을 쓰레드를 통해 실행시키면 됩니다. 채팅을 예를 들면, 채팅을 작성하는 기능과 다른 사용자들이 보낸 채팅을 보는 기능을 서로 각각 다른 쓰레드로 동작시켜 채팅을 실시간으로 보고/작성할 수 있습니다. Java Thread 생성 방법Java 에서 Thread 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입니다.Thread 클래스 상속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Threa.. 2025. 1. 7. 자바의 형 변환 (Type Casting) 오늘은 자바의 형 변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형 변환이란?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입니다. 가끔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int 형 변수와 long 형 변수를 함께 연산해야 하는 경우, char 형 변수를 int 형으로 혹은 int 형 변수를 char 형 변수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char)(str1.charAt(str1Point) -'a' + 1) % 26 + 'a' (char) 가 형변환 방법입니다. 형변환 방법 (타입) 피연산자 () 이런 괄호를 형변환 연산자 라고 하며 이런 형변환을 캐스팅이라고 합니다.double d = 85.4;int score = (int) d;System.out.println("d : " + d);System.out.p.. 2024. 12. 4. 오토박싱, 오토박싱의 문제점과 해결방법 오토 박싱이란자바의 변수에는 크게 2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참조형이고 다른 하나는 기본형입니다. 기본형은 숫자, 불리언, 부동소수점 수와 같은 기초적인 값(단순 비트열의 나열)을 의미하고 참조형은 객체를 참조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자바에서는 이런 기본형을 참조형으로 다뤄야 할 때 래퍼 클래스라는 것을 제공합니다. 기본형 참조형 int -> Integer long -> Long byte -> Byte char -> Character short -> Short double -> Double boolean -> Boolean float -> Flo.. 2024. 11. 2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