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4 3tier 아키텍처 오늘은 3tier 아키텍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3tier 아키텍처란?3tier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를 Presentation tier, Application tier, Data tier이 3개의 tier으로 분리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입니다.tier 와 layer의 차이점처음엔 저도 layer 라고 정리하려고 했었는데 찾아보니 tier 와 layer는 엄연히 구분되어야 하는 개념인 것을 깨닫고 관련 정보를 찾아보았습니다.tier란?tier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를 구분된 인프라에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즉 Presentation, Application, Data 라는 각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를 네트워크를 통해 분리하는 것입니다.layer란?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계층으.. 2024. 12. 1. 포트 포워딩 오늘은 포트 포워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포트 포워딩과 그와 관련된 개념인 NAT 와 작동 방식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포트 포워딩이란?포트 포워딩은 NAT가 설정된 라우터가 특정 포트로 들어온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서비스(웹 서버, FTP 서버) 로 보내주는 것을 말합니다.포트 포워딩의 핵심은 외부에서 온 데이터를 내부 네트워크 특정 서비스로 보내주는 것입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NAT 라는 것은 무엇일까요?NAT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내부 네트워크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구현되어 있는 기능입니다. 사설 IP 란 사설 네트워크에서 다른 장치와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공인 IP 란 인터넷에서 사용자를 찾을 수.. 2024. 11. 30. HTTP 메시지 HTTP 의 기본적인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목차HTTP 흐름HTTP 구조HTTP 메서드 HTTP 흐름HTTP의 흐름을 표현하는 단어는 인바운드, 아웃바운드, 업스트림, 다운스트림이 있습니다.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는 트랜잭션 방향을 나타내는 단어이고,클라이언트 -> 서버 방향으로 흐르는 것은 인바운드,서버 -> 클라이언트로 흐르는 것을 아웃바운드라고 합니다.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은 수신자와 발송자에 대한 것입니다.일반적으로 데이터가 흐르는 방향은 발송자에서 수신자이고 메시지의 수신자를 이를 다운스트림이라고 합니다.그렇기 때문에 발송자와 수신자의 관점에서 보면 HTTP 메시지는 항상 다운스트림으로 흐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메시지의 발송자를 업스트림이라고 표현합니다. HTTP 메시지 구조HTTP 메시지는 .. 2024. 10. 11. Network 개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Network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개념들을 설명하려고 합니다.해당 게시글의 내용을 통해서 앞으로 게시될 네트워크 관련 글들을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통신 정의와 구성요소 데이터 교환 유형(전송 방향) 네트워크의 정의와 구조 및 평가기준네트워크 유형네트워크 프로토콜 각 계층에 대한 간략한 설명OSI와 TCP/IP 프로토콜 모델 소개 데이터 통신 정의와 그 구성요소데이터 통신은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통신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메시지 : 데이터를 뜻함송신자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수진자 : 메시지를 받는 장치전송매체 :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물리적 경로프로토콜 : 통신 .. 2024. 7.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