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MVC 패턴 오늘은 MVC 패턴에 대해서 공부하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MVC 패턴이란MVC (모델-뷰-컨트롤러) 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 및 논리 제어를 구현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모델 뷰 컨트롤러가 서로 해야하는 역할을 분담하는 것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각 구성요소의 역할을 살펴봅시다. ModelModel 이란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합니다.여기서 데이터란 입력받은 데이터 혹은 서버에서 가져올 데이터가 될 수 있고,이 데이터들을 가공하기 위한 로직이 Model 에 포함됩니다.View사용자에게 Model 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Controller사용자의 요청을 Model 과 View 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Mo.. 2025. 1. 8.
쓰레드 오늘은 쓰레드가 무엇이고, 왜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고 Java 에서는 쓰레드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히 문법을 알아보고 간단한 채팅 기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쓰레드란?쓰레드는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는 역할을 하고, 모든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쓰레드로 동작합니다.하나의 프로세스가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해야 할 때, 각 기능을 쓰레드를 통해 실행시키면 됩니다. 채팅을 예를 들면, 채팅을 작성하는 기능과 다른 사용자들이 보낸 채팅을 보는 기능을 서로 각각 다른 쓰레드로 동작시켜 채팅을 실시간으로 보고/작성할 수 있습니다. Java Thread 생성 방법Java 에서 Thread 를 생성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입니다.Thread 클래스  상속Runnable 인터페이스 구현 Threa.. 2025. 1. 7.
vscode 터미널 보안 오류 오류 내용 vscode의 터미널을 이용해서 npm 을 실행하려고 할 때 이런 오류 메시지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Windows PowerShell 에서는 보안상 npm 실행을 막아두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PowerShell로 vscode 에서 작업 하시는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을 바꿔야 합니다. // 차례대로 입력Restricted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Scope CurrentUser 2024. 12. 30.
GitHub 이슈와 브랜치(pr) 자동 연동 설정 오늘은 GitHub Project 의 칸반 보드에 등록된 이슈와 브랜치 자동 연동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슈로 등록된 것이 모두 작업이 완료가 되고 이 브랜치가 프로젝트에 병합될 때(pr) 자동으로 Done 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작업이 완료되어 원격 브랜치에 병합을 해야 한다는 상황을 가정해 보겠습니다. 커밋 메시지에 이렇게 이슈 번호를 넣어주게 되면 해당 커밋이 어떤 이슈에 관한 작업인지 쉽게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넣어주었습니다.  그런 다음 레포지토리로 돌아가서 pr 생성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Add a description 쪽에 close #이슈번호 를 작성해주고 pr 을 생성하게 되면  .... 내용close #이슈번호   우선 이런 식으로 커밋된 내용들이 이.. 2024.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