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9 Spring boot(호스트 PC) 와 MySQL (docker container) 연동 실패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 boot 와 MySQL (docker container) 연동 실패 에 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문제점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호스트 PC) 과 MySQL(docker container)를 연동하려고 하는데 애플리케이션 쪽에서 MySQL 서버를 찾지 못하는 문제가 계속 발생하였습니다. 이 부분이 상당히 의심이 갔습니다.원래 이렇게 생겼었나? 하는 단순한 생각에서 출발해서 해결책에 도달하게 됐습니다... 해결책해결책은 docker 컨테이너 생성 시 -p 옵션을 이용해서 호스트 포트와 컨테이너 포트를 직접 지정해 주는 것입니다.docker는 포트 지정을 해주지 않으면 컨테이너의 포트만 활성화 되고, 외부인 호스트 PC와의 연결은 차단됩니다. 저같은 경우는 M.. 2024. 7. 11. 트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트리는 비선형 자료구조로 자료간의 포함관계, 상하위 관계와 같은 계층 구조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 입니다. 아래 그림은 각 자료간 포함관계를 표현합니다. 트리 관련 용어트리는 노드와 간선들로 구성되어 있고, 각 노드는 간선을 사이에 두고 상위, 하위 관계를 가지게 됩니다.여기서 상위 노드는 부모, 하위 노드는 자식이라고 부릅니다.여기서 특징은 무조건 부모는 하나여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트리는 가장 최상위 부모를 루트(root) 라는 용어로 부릅니다. 그리고 트리의 최하위 노드는 리프(leaf)라고 부릅니다. 트리는 루트에서 어떤 노드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간선의 수를 해당 노드의 깊이라고 합니다.리프 노드의 깊이를 트리의 높이(height.. 2024. 7. 10. Node.js "no such file or directory" 문제상황React로 개발을 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아래와 같은 error 메시지들이 나왔습니다. 해결 아마도 이 경로에 npm이라는 폴더가 만들어지지 않아서 생긴 문제인것 같아서 만들어주었습니다. 왜 npm이 생기지 않았는지 이 문제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npm 폴더를 직접 만들어 줌으로써 문제는 해결이 된 것 같습니다. 2024. 7. 8. REST API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REST API 입니다. REST API그 전에 API라는 개념부터 알아봅시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두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 방식을 모아놓은 것입니다.REST API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라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입니다.REST는 웹 서비스 개발에 사용되는 규칙과 원칙을 정의한 아키텍처 스타일로,REST API는 이러한 규칙과 원칙을 준수하여 설계된 API를 의미합니다. 설계 원칙REST API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설계 원칙은 6가지가 존재합니다. Client-Server: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역할을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야 합.. 2024. 7. 7.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