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9

Union Find 이번 포스팅에서는 Union Find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Union Find란?Union Find란 상호 배타적 집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료구조 입니다.상호 배타적 집합이라는 표현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상호 배타라는 단어는 "서로 겹치지 않는다"  라는 의미이고, 집합은 구별되는 요소들의 모임입니다. 즉 부분집합들이 공통 요소를 가지지 않음을 표현하는 단어가 상호 배타적 집합입니다. 머릿속으로 위 문장을 그려보시면 아래와 같은 그림을 그리실 수 있습니다.각각의 요소들은 서로 다른 집합에 포함되어 있고, 각 집합들은 교집합을 가지지 않습니다.Union Find에서는 각 요소들을 0 ~ n-1로 표현합니다. Union Find의 3가지 연산은 다음과 같습니다.초기화 : .. 2024. 7. 6.
Java Start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저는 왜 Java를 공부했고 Java를 통해서 앞으로 무엇을 하게 될지 간략히 소개하려고 합니다.왜 Java?객체지향 Java는 객체지향을 가장 잘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예전과 다르게 굉장히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고 있는데 다양한 이유들이 있겠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원인은 객체지향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멀티 스레드 지원서버 환경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적합한 언어입니다. 서버 환경 특성 상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서버들이 멀티 스레드를 지원하는 Java를 통해 개발됩니다. Spring 프레임워크Spring 이라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보편.. 2024. 6. 18.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르기 위한 전략 이번 글에서 다룰 내용은 코딩 테스트 대비 알고리즘 문제 해결 역량 입니다. 저는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정형화된 순서나 방식을 따르지 않고 무작정 푸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문제를 풀고 나면 그 이상 해당 문제에 대해서 고민해 보지 않았습니다. 위의 문제점들이 문제를 풀고 나서도 문제 해결 역량이 오르지 않는 원인이라고 생각되어 이번 기회에 문제 해결 역량을 기르기 위한 정형화된 틀을 잡아보려고 합니다! 문제 해결 전과 후로 나눠 문제 해결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을 한번 세워보겠습니다! 제가 문제를 해결했을 때를 떠올리면 보통 다음과 같은 사고를 거쳤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이해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추상화 • 추상화한 내용 코드로 옮기기 차례로 설명 해보겠습니다... 2023. 12. 7.
Specification 이란 오늘 작성하게 될 글의 주제는 Specification 입니다. 가끔 개발 관련 글 혹은 유튜브에서 표준 스펙이라는 단어를 듣게 될 때가 많았습니다. 들을 때 마다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궁금한 적이 있었는데 오늘 그 궁금증을 해소하게 된 거 같아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Specification Wikipedia A specification often refers to a set of documented requirements to be satisfied by a material, design, product, or service. Sepcification은 종종 재료, 디자인, 제품 또는 서비스가 충족해야 하는 문서화된 요구 사항 집합을 나타냅니다. 위키피디아에서 정의하고 있는 Specifictio.. 2023.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