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3

리눅스 기본 명령어 오늘은 자주 쓰이는 리눅스 명령어를 정리해두려고 합니다.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관련 명령어ls: 디렉토리 내 파일/디렉토리 목록 확인예: ls -l (상세 정보 출력), ls -a (숨김파일 포함 출력)cd: 현재 디렉토리 변경예: cd /var/log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경로 표시mkdir: 새 디렉토리 생성예: mkdir new_folderrmdir: 빈 디렉토리 삭제예: rmdir old_folderrm: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예: rm file.txt, rm -r directory (디렉토리 재귀적 삭제)cp: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예: cp source.txt target.txt, cp -r dir1 dir2mv: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이름 변경예: mv old.txt new.. 2024. 12. 21.
리눅스 우분투 고정 IP 설정 오늘은 리눅스 우분투 버전의 고정 IP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저는 VM 가상 머신 환경의 리눅스 우분투의 고정 IP 설정을 직접 해보고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관리자 로그인sudo su - rootvi /etc/netplan/00-tab 고정 IP 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아래 파일을 읽고 쓸 줄 알아야 합니다./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이 파일은 root 만 읽고 쓸 수 있기 때문에 root 계정으로 들어가야 내용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IP 설정network: renderer: networkd ethernets: ens33: dhcp: false addresses: - 192.168.188.12/24 .. 2024. 12. 16.
Blocking I/O 와 Non Blocking I/O | 동기(Synchronous)와 비동기(Asynchronous) 프로그래밍에 대해 공부할 때 동기 비동기, Blocking I/O Non Blocking I/O 에 대해 만나는 경우가 많은 거 같습니다. 헷갈리고 어려운 개념이라 이번에 포스팅 해보며 확실하게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동기 비동기, Blocking I/O Non Blocking I/O 을 서로 같은 개념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고 저 또한 그랬었기 때문에 이번엔 이 두 가지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는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Blocking I/O 과 Non Blocking I/O Blocking I/O 와 Non Blocking I/O 는 시스템에서 입/출력(I/O)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Blocking I/O 프로그래머가 짠 코드에서 I/O(file 에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2023. 7. 21.